Saturday, September 21, 2019

The spirit included in K-foods: Doenjang and Ganjang

Harmony with Nature: Fermented Foods


The essence of the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is Doenjang. Doenjang is a fermented food with soy beans.  Doenjang is used for many Korean foods.  The Korean mentality of implicitness and perseverance has been absorbed into this food and others.  Implicitness and perseverance are the virtues that Koerans lost during the rapid modern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fter Korean War. It is time that we should recover the virtues for the happiness and welling of the people around the globe. Implicitness and perseverance are derived from the process of harmonizing with Nature. You have to wait and interact with patience to be friendly with nature. The spirit is naturally absorbed into every aspect of life. The Korean spirit is contained in the basic food: Doenjang . That is the reason why we should prepare food with care and eat food with gratitude for nature and ancestors.  

Soy Bean

Soy beans are good protein suppliers for Asians who has eaten rice for carbohydrate. Animals find proper food combination naturally for survoval. In Asia, beans have been used in various forms of food, especially in Korea. Koreans made Tofu, Doenjang and some others from soy beans. Doenjang is fermented from soy beans. Doenjang is the basic one of the fermened foods that Koreans enjoy. You might misunderstand that Kimchi is the only Korean food. There are, however, a lot of Korean fermented foods.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Korean can ferment almost every vegies and fruits, even fish.


Meju: A big dumpling of boiled soy beans. Beneficial microorganisms are cultivated inside meju.

You can see the Korean's wosdom about life. Meju is an example. Meju is a big dumpling of soy beans. When you boil soy beans and then crush, they become a little sticky. We make rectangular parallelepiped mejus with those sticky soy beans. It seems that Koreans knew intuitively knew Microorganisms are cultirvated within the mejus.  You can see in the picture above. They knew that without microscope or other observatory instrument.  Microorganisms are media to harmonize human life and nature. Koreans perceived everything is inter-related and thought that something went wrong when there was a disconnection between life and nature. That is, they thought life persist in harmony and connection with nature.  The idea that things are discrete is an illusion.  The thought trend that divide things: huan and environment, west vs east, material vs spirit, body vs mind, etc , developed from the time of Aristotle and ancienct Greeks has pervaded the globe for the last about 2,500 years. It resulted in many harms and problems globally now. Now we are all in a turning point. We should change our logic. From lineal and divisional to para-logic to trans-logic. 
 I and You are one. You are in me. I am in You. We compose the universe. Korean mentality is sometimes called "Daedong(Big Togetherness)", which means cosmopolitanism. Koreans have lived together in a collective society for thousands of years on the peninsula.  We are all one. I use "cosmopolitanfreedm" as my google ID with this personal belief. This "Daedong" spirit is a virtue, I believe, that can renovate the way of life on the globe, eliminating individualistic and self-based life styles and beliefs.  Koreans use the word "woori" very often and excessive. "Woori" means "we". Eetimologically, "woori" means "fence", a place some like-kind things stay together. Koreas mostly use "we=woori" as the subject of a sentence instead of "I". And "our" for " my". Even they say " our wife" instead of "my wife'. Mentality is manifested in the use of language and food. Anyhow, Koreans have lived a life of togetherenss, Daedong, cosmopolitanism.



Jangdok: Korean traditional container for Doenjang, Ganjang and other foods

Jangdok breathes. The desity of Jangdok is loose so the air moves in and out. SO what? The microorganisms in Doenjang and other fermented food in Jangdok breathe and so live. Koreans enjoy eating living foods. The microorganisms in Doenjang and other fermented foods keep balance of the body biomicrobes, thus keep healthy body. It is very importand point that Jangdok, Jang container, breathes because air, spirit of the essence of life. Air is "Chi", or "spirit". In English, spirit is etimologically air. Lung is a part of respiratory system. Spirit is air, and air is mentality. It can be construed that our mentality is deteriorated as the air is deteriorated on the globe. The level of live is the level of spirit: air. So Jangdok breathes. We should breathe good air to live a good life. For Koreans to know more about 'spirit' and air. Now, you may have understood my intention to spread the Korean mentality of totality, implicitness and togetherness. Doenjang and Ganjang in Jangdok feeds microorganisms breathing through the minute gaps of the wall of Jangdok. How these people could see the holes invisible of the wall? Some sixth sense? Maybe. Life breeds life. Koreans have known it from the ancient.  


*Korean Version


자연과 조화:발효식품

한국 전통 발효식품의 기본이며 정수는 콩을 발효시켜 만든 된장과 간장이다.  모든 음식에 들어간다고 해도 별로 틀린 말은 아니다. 그 속에 들어 있는 우리민족 정신은 은근과 끈기이다. 현대화 과정에서 잃어버린 다시 되찾아할 덕목이다. 평화와 행복을 위해 되살려야할 정신이다. 은근과 끈기는, 곧, 자연과 조화이다.  정신은 삶 속에 배이게 마련이다. 우리 민족의 정신은 우리가 먹는 기본 음식에 담겨있다. 음식을 정성스럽게 만들고 감사하며 먹어야 하는 까닭이다.
메주콩
콩은 탄수화물 중심인 쌀을 주식으로 하는 동양인들이 자연스럽게 단백질을 통해 아미노산을 보충하기 위해 2차 주식으로 섭취하게된 귀중한 곡식이다. 사람을 포함한 동식물은 자연의 일부로 필요한 것을 자연스럽게 자연에서 구한다.

 메주
우리 조상들의 탁월한 지혜는 생명에 대한 이해가 깊다는 점이다. 이 메주가 가장 대표적이다. 메주에 저렇게 미생물이 살고 있다는 것을  현미경으로 보지도 않고 보고 알았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데 미생물이 매개가 된다. 서양인들과 동양인들의 근본적 차이, 뇌구조의 차이점은 동양인들을 통합적이고 조화를 보는 전체성이고, 서양인들은 분석적이며 단절적이고 부분 지향이라는 점이다. 서양인들의 정신과 문화가 지구를 지배하면서 기술 발달, 환경과 인간 문화를 별개로 보는 인식으로 환경파괴, 식민지화,  배려가 아닌 이기심 만연으로 오늘날 지구의 참혹한 모습을 연출하게 되었다. 우주의 모든 것을 자세히 관찰하면 모두 연결되어 하나를 이루고 있다. 분리된 것은 없다. 나와 남은 하나이다. 우리 조상들을 그렇게 더불어 나누며 어울려 사는 대동의 삶을 살았다. 그래서 우리는 '울타리'를 뜻하는 '우리'라는 말을 너무 많이 쓴다. 심지어 '우리 마누라'라는 사실과 다른 말도 쓴다. 너무 '우리끼리' 뭉쳐서 배타적이고 패거리 문화로 악효과를 내기도 하지만, 더불어 사는 삶은 되찾아야 한다. 




메주 속의 미생물들이 번식하여 효과를 내려면(발효) 긴 시간 기다려야 한다. 은근과 끈기가 없으면 안된다. 명확하고 깔끔한 것을 좋아하는 서양인들이 화학을 발달시켜 세제나 농약, 몸 속 균을 죽이는 약을 개발하였다면우리 조상들은 흐리고 섞이는 것을 좋아하여 비빔밥을 먹고, 탁주를 즐기고, 된장을 즐기며 여백이 있는 동양화를 그리고 좋아하였다. 농약을 쳐서 많은 수확량을 올려 돈을 많이 벌겠다는 욕심과 이기심을 바탕으로 자본주의가 발달한 것은 인류사에서 시행착오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지구 긴 역사에서 약 250년 간 진행된 짧은 시행착오의 과정이다. 이제 그 자본주의라는 작은 배가 큰 대양 한 구석에서 침몰하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지금의 상황을 차분히 관찰하면 명확한 사실이다.


장독대

장독은 숨을 쉰다. 숨은 공기, 기, 기운이다. 기운은 곧 정신이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생명은 곧 공기, 기, 기운이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지 않으면 건강은 불가능하다. 만병의 근원은 기력저하이다. 공기를 받아들이는 능력이 떨어지는 것이다. 성철 스님이 음식을 거의 드시지 않고 정신력이 높으신 것은 그의 기력이다. 즉, 공기를 받아들이는 능력이 높으셨던 것이다. 영어 단어, 정신을 뜻하는 'spirit'도 공기라는 뜻이다. 정신은 공기를 받아들이고 생명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장독 속의 된장이나 간장은 독의 미세한 틈으로 들어오는 기(자연의 생명력)을 받아들이고 내보내며 그 속에서 숨쉬는 수 억 개체의 생명체(미생물)들을 살린다. 된장이나 간장은 살아있는 음식이다. 생명이 생명을 살린다. 오늘날 대부분 공장에서 화학처리를 통해 생산되어 우리가 음식이라고 착각하고 속아서 먹는 것들은 죽은 것이 대부분인 제대로된 자연스러운 음식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음식혁명을 통해 의식혁명이 필요한 시점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Featured Post

Coronavirus vs Human immune system: Herbs can boost the immune system

Herbs and fermented foods can boost your immune system to fight with CORONAVIRUS. We mostly ignore simple things. Air breathing and eating...